상단여백
HOME 산업·노동·안전 산업·기술
신안군 천일염 경쟁력 강화 추진
신안군은 천일염을 지역특산품으로 브랜드화하기 위해 천일염 경쟁력 강화에 심혈을 기울이기로 했다.

군에 따르면 천일염은 우리 고유의 전통식품이면서도 지금까지 염관리법에 광물로 분류돼 식품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젓갈·김치·염장류 공장에서 식품으로 사용하면 불법으로 처벌받아 왔으나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천일염을 식염으로 인정하기 위해 식품위생법 '식품의 기준 및 규격' 개정안을 마련해 입법예고했다.

신안군수는 지난 12~16일 일정으로 목포대 교수와 대한염업조합관계자 및 관계 공무원과 함께 토판천일염 생산지인 프랑스 게랑드를 방문해 염업조합 관계자를 만나 천일염 생산구조와 환경보존, 유통방향, 관광활성화 방안 등을 벤치마킹하고 돌아왔다.

신안군은 민선4기 역점시책으로 추진하고 있는 천일염 브랜드화를 육성하기 위해 27일 군청 대회의실에서 염생산자 20여명과 직원들을 대상으로 목포대 천일염 생명과학 연구소장인 함경식 교수를 초빙해 천일염 생산방식과 유통문제 등 식품화에 따른 대응능력 제고와 프랑스 게랑드 염전 생산구조 방식을 비교해 우리 천일염이 앞으로 나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프랑스 게랑드 소금은 국내 천일염과 비슷한 방법으로 생산되지만 가격에서는 kg당 8만원 정도에 팔리고 있어 국산 천일염(kg당 200~300원)과 큰 가격차이를 보이고 있다.

앞으로 신설되는 천일염의 규격은 염화나트륨(70.0% 이상), 총염소(40.0% 이상), 수분(15.0% 이하), 불용분(0.15% 이하), 황산이온(5.0% 이하), 사분(0.2% 이하), 비소(0.5mg/kg 이하), 납(2.0mg/kg 이하), 카드뮴(0.5mg/kg 이하), 수은(0.1mg/kg 이하), 페로시안화이온(불검출)이다.

한편 지난해 전국 염전면적은 4915ha로 34만여 톤이 생산되고 이 가운데 전남이 3373ha에서 29만여톤이 생산되고 있다. 특히 신안지역에서는 전국 면적의 2186ha에서 20만여 톤을 생산해 전국 생산량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박석윤  psy7066@hanmail.net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석윤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여백
포토뉴스
[포토] 대한건설보건학회 후기 학술대회
[포토]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학술발표회 개최
[포토]최병암 산림청 차장, 생활밀착형 숲 조성사업 준공식 참석
[포토] ‘제22회 아름다운 화장실 대상’ 시상식 개최
수원에서 첫 얼음 관측
여백
여백
여백
오피니언&피플
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
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