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중앙관청에서는 금속활자를 만든 후 부수 또는 특정한 활자별로 분류하여 서랍장에 담고 이를 활자보관장에 넣어 보관했다. 그리고 각 보관장에 어떤 글자가 얼마나 보관되었는지를 기록한 책을 만들었는데 이 책을 '자보' 또는 '자수'라고 한다. 자보에는 활자를 주조한 사실, 활자를 만들 때 감독하거나 담당한 관리의 이름 등을 기록했다. 이와 함께 각 보관장 별 책임자가 기록된 경우도 있어 국가에서 활자를 매우 중요하게 여겨 철저히 관리했음을 알 수 있다.
규장각에는 1772년(영조 48) 주조한 임진자의 자보인 '신정자수'를 비롯한 9종의 자보가 남아 있으며, 이 가운데 7종의 자보는 7개로 구성된 보관장 별로 보관된 글자와 그 수를 기록했다. 이번에 전시하는 활자보관장은 이들 보관장 가운데 하나로 추정된다.
활자 보관장과 함께 전시되는 활자 보관 서랍 가운데 하나에는 서랍 뒷면에 1857년(철종 8) 정리자를 새로 만들었다는 사실이 기록돼 있어 흥미를 끈다.
조수경 camus0211@nate.com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