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오피니언&피플 사설
‘선관위’도 환경 외면 말라
여느 선거철과 마찬가지로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5·31 지방선거가 드디어 마침표를 찍었다. 하지만 예년과 달리 이번 선거에서 새롭게 부활한 선거현수막이 환경 분야에서는 때 아닌 애물단지가 되고 있다.
선거철에 한창 후보자들을 빛내주던 현수막이 선거가 끝남과 동시에 바로 쓰레기로 전락해 버린 것이다.
폐 선거현수막은 단순히 쓰레기로 끝나는 게 아니라 태우면 태운대로 유해가스를 방출하고, 매립하면 50년이 지나도 분해되지 않고 토양을 오염시킬 만큼 그 유해성이 의외로 높다.
하지만 선거현수막을 폐기하지 않고 재활용하게 되면 말이 달라진다. 각종 장바구니·모래포대 등 다양한 용도로 쓸 수 있으며 재질에 따라 옷으로 재활용되기도 할 만큼 언제, 어디서든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렇다면 현재 선거현수막은 어떻게 처리되고 있을까. 재활용되고 있기는 한 것일까. 하지만 그에 대한 대답은 비관적이다. ‘현수막과 환경’이 어떤 연관이 있는지조차 모르는 관계자들 사이에서 폐 선거현수막이 재활용될 리 만무하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 차원에서도 짐작조차 할 수 없을 만큼 선거현수막의 양은 막대한 것으로 가늠되고 있다. 서울 지역의 총출마자만 1525명. 전국으로 확대하면 총 1만2227명의 (당시) 후보자들이 읍·면·동마다 한 개씩, 최소 몇 개에서 수십 개의 현수막을 제작했다고 생각해보면 그 양을 개략적으로나마 헤아릴 수 있다.
한 후보자가 10개의 현수막을 제작했다고 해도 선거기간 중 훼손으로 인해 새롭게 제작하는 현수막도 있고, 깨끗한 현수막으로 교체가 이뤄지기도 하며 공약이 바뀌면서 현수막을 새롭게 교체하기도 하니 10개의 현수막을 걸었다 해도 후보자에 따라서는 배 이상의 현수막을 이미 제작했을 수도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더군다나 현수막 하나에 들인 비용을 5만원 정도로 계산했을 경우 선거현수막에 들인 비용도 만만찮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막대한 비용을 들여 전국적으로 10만여 개의 현수막이 일회용으로 그 운명을 달리하고 있다고 생각해 본다면 문제는 꽤나 심각해질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일회용 현수막뿐만이 아니다. 이러한 선거지침을 허용한 선관위에서의 태도도 변해야 한다는 것이다. ‘폐현수막이 뭘 어쨌다는 건지 모르겠다’는 선관위 직원들의 말투는 선관위 기관 특위성을 떠나 기본적으로 환경의식이 바닥에 깔려 있음을 의미하는 처사로 보인다.
이제는 폐선거현수막도 엄연히 선관위에서 관리해야 한다. 관리라기보다는 관리를 위한 지침을 후보자들에게 직접 명시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출마 의원들도 앞으로 선서현수막을 직접 철거해야 하는 만큼 보다 의식을 갖고 나름대로의 재활용 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 98년 이후 처음으로 선거현수막이 부활했지만 처음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적잖은 사람들이 선거현수막의 폐기에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또한 태극기만 한 대형 선거현수막이 건물 위에서 펄럭거리는 모습을 앞으로의 선거에서도 지켜볼 수 있을지도 지켜볼 일이다. 시민들로부터 이른바 ‘비호감’ 선거운동이 앞으로도 계속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 말이다.

편집부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편집부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여백
포토뉴스
[포토] 대한건설보건학회 후기 학술대회
[포토]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학술발표회 개최
[포토]최병암 산림청 차장, 생활밀착형 숲 조성사업 준공식 참석
[포토] ‘제22회 아름다운 화장실 대상’ 시상식 개최
수원에서 첫 얼음 관측
여백
여백
여백
오피니언&피플
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
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