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사회·문화 건강·웰빙
여름건강은 1년 건강의 절반
그야말로 말로만 듣던 가마솥 더위가 연일 기승을 부리고 있다. 가뜩이나 불황에 연쇄살인에 정치적 혼란은 난항을 겪고 있어 불쾌지수는 이만저만이 아니다.
지쳐있는 사람들에게 올 여름 유난히 따갑게 내리쬐는 햇살과 불볕더위의 스트레스를 고스란히 머리에 이은채 이글이글 끓어오르는 아스팔트는 단순한 날씨의 문제를 떠나 눅진한 심신을 지치게 한다.
올 여름을 건강하고 활기차게 보낼 수는 없을까? 시절이 좋다보니 각종 건강보조식품이다, 기능성 음료다, 웰빙음식이다, 이런저런 많은 것들이 있지만 다름아닌 잘먹고, 잘사는 것이 바로 웰빙이요, 여름이나 겨울이나 건강을 지키는 것이 1차적 교본이다.
잘 먹는다는 것은 고가의 비싼 식재료나 음식을 먹는 것이 아니다. 여름철의 더운 기온은 음식을 쉬이 상하게 하고, 흐르는 땀은 갈증을 가져오기 십상이다.
여름을 잘 날 수 있는 먹거리로는 무엇보다 단백질을 으뜸으로 여긴다. 복날에 삼계탕을 끓여먹던 우리 선조들의 지혜는 과히 놀랄만하다. 닭만큼 쉽게 구할 수 있는 단백질원이 또 어디 있을까마는. 주의할 것은 체중 1kg당 1g 정도의 단백질이면 충분하므로 조금씩 자주 먹도록 하고, 고기나 우유와 같은 동물성단백질과 콩 두부 잡곡 등의 식물성 단백질을 골고루 섭취해야 한다.
먹거리 중 여름에 가장 신경써야 할 것은 다름아닌 물이다. 여름철 전염병의 원인이 바로 물이요, 흘러내리는 땀은 물로 보충해 주어야 한다. 물은 끓여먹는 것이 안전하고, 수분 보충을 위해 자주 마시도록 한다. 또한 나들이를 할 때는 이온음료나 보리차를 준비해 수시로 마실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물 외에 수분을 보충할 수 있는 것으로 제철 과일과 채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수분과 전해질이 충분하여 탈수를 막아줌은 물론이요, 풍부한 비타민은 햇살에 지친 피부를 회복시켜주고, 면역력 증진과 전신의 피로 회복을 도와준다.
잘 먹는 것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바로 잘 사는 것이다. 잘 사는 것은 좋은 생활습관을 의미한다. 건강한 여름을 위한 좋은 생활습관은 ‘잘 씻고’, ‘잘 놀며’, ‘잘 자자’, 이 세가지면 여름건강의 절반은 챙긴 셈이다.
여름은 땀이 많은 계절이고, 각종 세균이 번식하는 계절이므로 청결이 중요하다. 외출후 반드시 손발을 깨끗이 씻고, 샤워는 찬물보다는 미지근한 물에 하는 것이 체온조절에 도움이 된다. 외출시에는 반드시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여 피부를 보호하도록 한다.
자외선은 피부손상 뿐 아니라 체내의 면역력에도 영향을 주므로 통풍이 잘되는 긴팔 옷을 입어 가급적 노출을 줄이도록 한다.
반면에 적당한 햇볕은 비타민 D를 공급시켜 체내의 칼슘흡수를 도와주는 장점도 있으므로 햇볕에의 노출을 적절히 조절하여 내 몸에 도움이 될 정도만 받아들이는 지혜도 필요하다.
여름 햇살의 문제는 낮에는 자외선이요, 밤은 그 열기이다.
낮 동안의 열기가 열대야로 이어지면서 밤이 괴로워진다. 잠들기 전 미지근한 물에 샤워를 하고, 취침전 30분 가량의 운동은 수면에 도움이 된다. 반면, 커피 녹차 콜라 등 카페인이 든 음료는 가급적 피하고, 취침전 음식섭취를 자제한다. 지나친 에어컨 사용은 여름감기와 냉방병의 요인이 되므로 에어컨 사용은 1시간 이내가 적당하다.
여름이 더울수록 다가올 가을에도 준비가 필요하다. 입추도 지났고 머잖아 선선한 바람이 찾아들 시기이다. 환절기의 핵심은 큰 일교차와 신체리듬의 변화이다. 이로인해 몸이 쉽게 피로해지고, 면역력이 떨어져 감기나 알레르기 질환에 걸리기 쉬워진다. 환절기에는 일교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덧옷을 준비하는 등 복장에 신경을 써야한다.
실내온도와 습도 조절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일도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다가올 겨울을 날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여름동안 소홀히 했던 운동에 좀 더 신경을 쓰자.
흔들리는 신체리듬에 충격을 더 주지 않도록 스트레스를 줄이고, 피로를 예방하기 위해 적당한 휴식을 취하는 것도 요령이다.
무엇보다 여름이 건강하면 환절기에 이어 1년의 건강을 지킨다. 건강은 하루, 이틀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꾸준한 습관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박은희 기자>


박은희  sky0077@korea.com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여백
포토뉴스
[포토] 대한건설보건학회 후기 학술대회
[포토]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학술발표회 개최
[포토]최병암 산림청 차장, 생활밀착형 숲 조성사업 준공식 참석
[포토] ‘제22회 아름다운 화장실 대상’ 시상식 개최
수원에서 첫 얼음 관측
여백
여백
여백
오피니언&피플
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
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