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환경플러스 농·수·축 보도자료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조절 유전자와 작용원리 밝혀농진청, WRKY 전사인자 찾아…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품종 육성 기반 마련
OsWRKY88-과발현은 벼흰잎마름병에 저항성을 보였으며, 병 방어 유전자(CHIT2와 OsPR10a)의 발현을 증가시켜 병 저항성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제공=농촌진흥청>

[환경일보] 이보해 기자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벼흰잎마름병’ 저항성을 조절하는 유전자와 그 작용원리를 밝혔다.

벼흰잎마름병은 세균에 의해 발생하며, 이 병에 걸리면 벼 잎 가장자리가 노랗게 변하면서 말라 벼 생산에 큰 피해를 입게 된다.

이번에 밝힌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조절 유전자는 WRKY 전사인자로, 식물체 내에 침입한 병원균을 방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벼가 벼흰잎마름병에 감염됐을 때 WRKY 전사인자들의 상호작용을 연구한 결과, WRKY의 이중 방어 조절원리와 관련된 유전자는 모두 4개였다.

세균이 침입하면 OsWRKY10 유전자가 상위 유전자인 WRKY88과 하위유전자 WRKY47에 신호를 전달하고, 병 방어 유전자인 OsPR1a 촉진인자를 활성화시켜 병원균에 제일 처음 대응하는 기초면역을 수행한다.

또한, 저항성 유전자 Xa1 (벼흰잎마름병균 race 1 저항성 유전자) 매개에도 영향을 미쳐 간접적으로 저항성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6월 관련 분야 국제 유명학술지인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IF=5.36, 표준화된 영향력지수=94)에 게재돼 학술적으로 인정받았다.

농촌진흥청 유전자공학과 한정헌 과장은 “앞으로도 벼의 안정적 생산을 위해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품종 육성 기반 기술을 적극적으로 키워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보해 기자  hotsun@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보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여백
포토뉴스
[포토] 대한건설보건학회 후기 학술대회
[포토]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학술발표회 개최
[포토]최병암 산림청 차장, 생활밀착형 숲 조성사업 준공식 참석
[포토] ‘제22회 아름다운 화장실 대상’ 시상식 개최
수원에서 첫 얼음 관측
여백
여백
여백
오피니언&피플
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
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