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환경플러스 농·수·축
잇꽃 종자 채취, 꽃 핀 뒤 20~30일 무렵 적당 장마철 맞물리면 씨앗 썩는 비율 최대 32%까지 증가

[환경일보] 이보해 기자 =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최근 골다공증과 부인병 등의 치료 효과로 주목받는 ‘잇꽃’의 안정적인 종자 생산 방법을 제시했다.

잇꽃(Carthamus tinctorius Linne)은 꽃(홍화)과 씨앗(홍화자)을 약재로 이용하는 작물이다. 꽃은 부인병과 복통을 치유하는데 쓰이고, 씨앗은 골절과 골다공증 예방에 활용된다. 잇꽃은 기름을 짜는 유지작물로도 인기가 높다.

품질 좋은 잇꽃 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종자가 여물거나 채종하는 시기가 장마철과 맞물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잇꽃 색은 꽃이 피기(개화) 시작해 30일이 넘어가면 짙은 갈색이 된다. 이 시기가 장마와 겹치게 되면 종자의 품질이 저하된다.

잇꽃 꽃 색 변화에 따른 종자 발달 특성<자료제공=농촌진흥청>

연구진이 꽃 색에 따른 종자 무게(g/100알)를 조사한 결과, 개화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노란색 3.23g, 빨간색 3.94g, 갈색 4.02g, 짙은 갈색 4.10g으로 종자 무게는 점차 증가해 등숙(여묾)했다.

하지만 꽃이 짙은 갈색일 때 종자의 약 32%가 썩는 현상이 발생했다. 따라서 개화가 시작한 뒤 20∼30일이 될 무렵 꽃 색이 짙은 갈색 단계가 되기 이전에 옅은 갈색 단계에서 채종하는 것이 알맞다.

또한, 여건에 따라 비가림 시설을 설치하거나 애초부터 3월께로 파종 시기를 앞당기는 것이 좋다.

잇꽃은 동남아시아의 건조한 산악 지역에서 기원한 식물이고, 두상화의 모양이 끝이 닫힌 항아리 모양의 구조로 돼 있어 비가 많이 오는 시기에 채종하면 품질이 낮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장재기 약용작물과장은 “올 연말 잇꽃의 종자 생산 관련 연구를 책자로 발간해 잇꽃의 국내 재배를 늘릴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전했다.

이보해 기자  hotsun@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보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여백
포토뉴스
[포토] 대한건설보건학회 후기 학술대회
[포토]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학술발표회 개최
[포토]최병암 산림청 차장, 생활밀착형 숲 조성사업 준공식 참석
[포토] ‘제22회 아름다운 화장실 대상’ 시상식 개최
수원에서 첫 얼음 관측
여백
여백
여백
오피니언&피플
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
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