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환경플러스 농·수·축
벼 염분저항성 높이는 유전자 기능 밝혀내간척지 등 염류집적 토양의 작물 품종 육성 활용 기대

[환경일보] 이채빈 기자 = 농촌진흥청은 벼에서 염분저항성을 높이는 OsEXPA7 유전자의 기능을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벼는 58개의 세포벽 완화 유전자(expansin superfamily)를 갖고 있다. 이 유전자는 세포벽에서 발현돼 세포 신장에 따라 성장, 환경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유전자 중 expansin7(OsEXPA7) 유전자가 염분저항성이 있다는 것을 이번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다.

OsEXPA7 유전자가 과 발현된 벼를 이용해 염분저항성을 확인한 결과, 이 유전자는 정단분열조직과 잎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고농도의 염분(150mM NaCl)을 처리한 경우에는 뿌리에서도 강하게 발현됐다.

또 OsEXPA7 유전자가 과 발현된 벼 어린 모종을 고농도의 염분(150mM NaCl)을 처리한 화분에서 2주 동안 재배한 결과, 잎과 뿌리 세포에서 염이온(Na+)은 줄고 칼륨(K+)은 증가해 일반 모종보다 강한 염분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OsEXPA7 유전자가 과 발현된 벼는 일반 벼보다 세포가 크고 뿌리의 길이와 숫자가 늘어났으며, 엽맥의 크기가 컸다. 활성산소의 축적을 줄여 항산화효과도 높아졌다.

또한 염분 수송체(sodium transporter)가 많이 나타나 염분을 세포 밖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이 높아졌다.

연구 결과, OsEXPA7 유전자는 세포 내 염분 수송과 활성산소 분해, 세포벽 신장 완화에 관여해 염분저항성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진청은 이번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분자과학(Intl J Mol Sci, Impact factor: 4.18)에 게재해 학술적으로 인정받았으며, 특허등록을 완료했다.

정미정 농진청 생물소재공학과장은 “새만금과 같은 간척지자 염류집적 토양에서 염분 피해 없이 잘 자라는 작물 품종 육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채빈 기자  green900@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채빈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여백
포토뉴스
[포토] 대한건설보건학회 후기 학술대회
[포토]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학술발표회 개최
[포토]최병암 산림청 차장, 생활밀착형 숲 조성사업 준공식 참석
[포토] ‘제22회 아름다운 화장실 대상’ 시상식 개최
수원에서 첫 얼음 관측
여백
여백
여백
오피니언&피플
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
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