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와 한국환경공단이 함께하는 '4차산업혁명과 스마트그린시티 비전마련 토론회'가 8일 성남시청에서 열렸다. <사진=김은교 기자> |
[성남시청=환경일보] 서효림, 김은교 기자 = 전 세계 인구 중 도시에 거주하는 비율이 절반을 넘어선지 10년이 지났다. 인구가 빠른 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대규모화된 도시는 인프라 부담 증가, 글로벌 경제 위기, 온난화 등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도시가 보다 스마트해져야 한다. 현명한 미래 변화 예측을 통해 스마트한 도시 인프라를 만들고 교통, 의료, 교육, 공중안전, 에너지와 수자원 등 필수적인 에너지원 발굴과 지능적인 도시를 관리하는 것은 나라의 성패를 좌우한다. 똑똑하고 지속가능한 도시의 발전을 위한 토론회가 지난 8일 성남시청 3층 산성누리 회의실에서 열렸다. <편집자 주>
전병성 한국환경공단 이사장 |
성남시와 함께하는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그린시티 비전마련 토론회’는 한국환경공단, 성남 4차산업 혁명 정책연구포럼이 주관하고 성남시와 본지가 후원했다. 한국환경공단 전병성 이사장의 개회로 시작한 이번 행사에 전 이사장은 “환경기술은 4차산업혁명과 융합·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며 “공단은 작년 환경기술연구소를 설립해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성남은 스마트그린시티 구축에 유리한 조건을 지니고 있다”며 “전문가의 의견을 토대로 한국환경공단과 성남시가 협력해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재철 성남시 부시장 |
성남시 이재철 부시장은 “역동적인 도시 성남은 스마트 그린시티로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하며 스마트 기술을 이용한 악취 민원 해결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판교를 중심으로 한 계획도시와 구도심이 함께 하는 성남은 악취 민원이 새로운 골칫거리였다. 성남은 악취 민원 해결을 위해 13개 지역에 대해 빅데이터를 분석해 각각 맞춤형 방식을 채택해 문제를 해결했다. 이 부시장은 “이번 포럼을 통해 성남이 지향하고 있는 방향성을 알리고 행정에 도입할 수 있는 길을 찾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는 기대를 전했다.
2060년 전기수요, 태양에너지가 충당할 것
이어진 발제에서 ㈜기술과가치공유 김선우 대표는 4차산업혁명으로 인한 주요 분야의 미래를 전망했다. 김 대표는 에너지 분야의 가장 큰 변화로 ‘전기화’를 꼽았다. 스탠포드대 마크 제이콥슨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2030년까지 전 세계 모든 에너지 수요는 신재생에너지로 충당이 가능하다.
과거 국제에너지기구(IEA)는 태양에너지(태양광과 태양열) 기술이 2050년까지 세계 전력의 21% 정도를 충족시킬 수 있으리라 예상했었다. 그러나 2010년 들어서 연구결과는 이런 예상을 뛰어넘어 50% 이상이 될 것으로 수정됐으며, 지금은 태양에너지(태양광과 태양열 모두)가 2060년이면 전세계 전기수요의 대부분을 충당할 것으로 바뀌었다.
김선우 대표는 “난방·조리기구, 자동차, 선박, 비행기 등 2050년까지 대부분의 에너지 사용기기들이 전기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남유럽·중동·북아프리카 슈퍼그리드(태양열), 북유럽 슈퍼그리드(풍력) 프로젝트가 재생에너지 대처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가운데 달에 로켓을 보내듯 새로운 문제에 도전하는 ‘문샷싱킹’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정부는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을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30%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지만 이를 위해서는 49GW의 재생에너지가 추가로 필요하다. 재생에너지 추가 생산이 필요한 시점에서 북해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세계최대 프로젝트인 북해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2027년까지 북해 도거뱅크(Dogger Bank)에 약 6㎢ 크기의 인공섬을 건설해 전력허브를 구축하고 30G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연계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도거뱅크는 광대한 모래퇴로 총면적이 17,600㎢에 달하며 수심이 15~36m로 주변보다 20m가량 낮아 인공섬 구축에 유리하며, 근처에 생산한 전력을 보낼 수 있는 연안국(네덜란드, 영국,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벨기에 등)이 있어 전력 송전에 쉽다. 또한, 풍황이 우수해 대규모 해상풍력단지를 구축하기에 좋다.
김선우 기술과 공유가치 대표 |
미래와 변화의 시작 ‘자율주행전기차’
도시의 잠재력도 에너지 전환에 새로운 변수다. 김선우 대표는 발표를 통해 “태양에너지 생산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막 등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 대규모 발전소(utilty scale)를 설치·운영하는데, 연구 결과 도시 내 개발 지역(built environment)의 발전 시설로도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캘리포니아의 경우 전체 에너지 수요(전기, 교통, 난방)의 3~5배를 도시 내 태양에너지(태양광, 태양열(CSP)) 로 충당할 수 있다.
기술로 인한 산업의 변화는 매우 빠르다. 김 대표는 자기기술에 대한 지나친 확신으로 몰락한 노키아를 예로 들어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21년 자율주행전기차(AEV)가 상용화되고 2022년에 오일 수요는 정점에 달할 것이며 2030년 차량용 가솔린 수요는 거의 사라질 것이라 예측했다. 김 대표는 “2020년 이전에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되고 자율주행택시 서비스가 급속히 성장할 것”이라고 말하며 자율주행택시 서비스는 모빌리티 비용 및 불편을 획기적으로 줄여줌으로써 막대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 말했다. 또 전통적인 자동차 제조사들은 자율주행택시서비스 플랫폼에 의해 지배돼 “결론적으로 자율주행차는 교통 뿐 아니라 우리의 일상, 도시, 경제 구조를 영원히 변화시킬 것”이라 강조했다.
미래 예측에 따르면 자율주행택시의 우수한 경제성(택시 대비 93% 저렴)과 편리함은 교통 약자들의이동 자유를 확대시킴으로써 교통량 3배 증가가 예상된다. 자율주행전기차가 상용화되는 2020년대 초반부터 MaaS 플랫폼(자율주행우버)이 자동차 제조업을 압도할 것이다.
모빌리티는 전통적인 부동산에 대한 수요를 낮출 수 있다. 고객이 매장을 찾아가는게 아니라 매장이 고객을 찾아가는 “이동형 부동산”의 확산은 부동산 가격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것으로 전망된다. 20세기 초에 자동차의 등장으로 도시가 변화한 것처럼 자율주행으로 인해 도시 계획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출퇴근 시간 부담이 없어지므로 도시에서 멀리 거주하게 되는 교외 확장(sprawl)이 이뤄질 것이다. 도시 면적의 상당 부분(일부 대도시는 30%)을 차지하는 주차공간 필요가 감소하고 운행 차량 감소 및 도로 이용 효율 극대화로 인한 도로 인프라 수요도 줄어들 것이다.
‘화석연료 제로거리’ 선언한 세계도시
차량 전기화에는 지방정부의 역할이 크다. LA의 지속가능 담당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워싱턴이 무슨 일을 하든지에 상관없이 도시들은 기후변화 대응에 앞장 설 것이라 말했다. 바르셀로나, 코펜하겐, 런던, LA, 파리, 시애틀, 밴쿠버 등 전 세계 주요 12개 대도시는 “화석연료 제로거리”를 선언했다. 2025년부터 탄소배출 제로 버스만 도입, 도시내 emissions-free 지역 지정, 경제성 및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여 지자체 운영 트럭, 버스 등을 우선 적용한다.
하이퍼루프는 균형발전에 있어서 긍정적인 측면이 강조됐다. 하이퍼루프로 인한 “거리의 소멸”(1200 km/h, 전국 20분내 이동)은 국가 균형발전에 기여할 것이며 주거지와 직장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 전국이 하나의 ‘가상 공항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도시 교통 체증을 해결하기 위해 지하, 항공 등 도시 공간을 3차원적으로 이용하는 3-Dimensiona과 우버의 flying taxi 프로젝트인 UberAIR는 새로 등장하는 모빌리티 기술이다. 2020년 데모비행,을 하고 2020년대 중반 상용화를 목표한 UberAir는 시속 320 km, 요금은 우버택시 수준이다.
end-to-end 물류 자동화는 자율주행선박, 완전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Fully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하이퍼루프(해상포트 à내륙포트), 자율주행트럭, 배달로봇(last mile delivery)에 영향을 끼친다.
제조업 분야에 대해서 제프 베조스는 “50년 후에는 지구는 주로 거주 용도로만 사용되고 주요 제조 공장은 우주(지구궤도)에 위치할 것”이라 예측했다. 현재 방식보다 친환경적이고 자원효율적인 식량생산이 필요한 미래에는 2050년 90억 이상으로 예상되는 세계인구를 위해 (2006년 수준에 비해) 69%의 추가 칼로리가 소요된다. 대안으로 ‘인공고기’가 제시되기도 했다.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의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해 최적의 인공 성장조건을 제공하는 식물공장도 눈길을 끌었다.
우주·해양경제의 진화와 확대
우주경제에서 소행성 채굴(Deep Space Industries)이 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플래니터리 리소스와 함께 대표적인 소행성 채굴회사는 우주자원을 채굴해서 지구에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우주에서 가공/제조해 우주에서 이용('Locally sourced for local use')하는 개념을 설명했다. 지구 근처 소행성(NEA. Near Earth Asteroid)의 전체 또는 일부를 지구궤도로 가져와서 가공/제조 : (인공위성, 우주선용) 연료보급기지, 우주태양광, 우주공장 등 지구궤도에 구조물을 건설한다. 즉, DSI의 목표는 우주자원을 이용한 (지구경제 확대가 아닌) ‘우주경제’로의 확대를 의미한다. Space Solar Power는 칼텍과 방산업체 노스럽그러먼이 만든 우주태양광 시스템이다. 10x10cm 타일 400개로 2x2m 패널로 구성되며 900개 패널로 60x60m 위성으로 구성된다. 위성 2500개로 전체 우주태양광 발전소가 된다.
해양경제에서는 해양거주(seasteading)의 개념이 도입된다. 거버넌스 실험을 위한 해상도시 프로젝트는 스타트업 생태계와 같이 다양한 거버넌스 모델간의 경쟁을 통해 진화한다. 원래는 공해상을 목표로 했으나 기술적/경제적 한계로 인해 연안에 건설하는 것으로 계획됐다.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와 MOU를 체결해 경제특구 형태로 개발 계획을 세웠으며 거버넌스 실험 외에 기후변화 대응, 해양연구, 관광 등 다양한 가능성이 제시됐다.
디지털 혁명으로서의 4차산업혁명은 속도(velocity), 범위(scope), 시스템적 영향(systems impact)을 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진다. 스티븐 코틀러(“Bold: How to Go Big, Create Wealth and Impact the World”)의 “지수적 기술의 6가지 D”는 무어의 법칙으로 대표되는 지수적 변화의 특성으로서 4차산업혁명의 핵심을 잘 정리하고 있다. 6가지의 D는 ▷디지털화(Digitization) : 디지털화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 디지털화될 것임 ▷기만(Deception) : 지수적 변화의 초기에는 선형적 변화로 잘못 이해 ▷파괴적 변화(Disruption) : 순식간에 기존 산업 질서를 재편 ▷무료화(Demonetization) : 재화/서비스의 가격 하락 ▷탈물질화(Dematerialization) : 별도의 기기들이 앱으로 대체(카메라, 내비, 캠코더 등) ▷민주화(Democratization) : 전 세계 인구의 30%가 슈퍼컴퓨터(스마트폰) 보유를 말한다.
모든 사물의 스마트화(사물인터넷) 추세가 수십 년 더 진행되면, 모든 산업의 생산 방식이 디지털화하고, 생산 인프라(통신망, 물류망, 에너지망)는 지능을 가진 하나의 거대한 컴퓨터처럼 되어(3차 산업혁명) 모든 산업의 한계 생산 비용(마지막 한 단위를 추가로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이 거의 제로 수준으로 떨어진다. 마치 '디지털 재화'를 점점 더 많은 사람이 이용해도 기업에 추가로 발생하는 비용이 없는 것처럼 말이다. 이것이 제러미 리프킨의 ‘제로 한계비용 사회’다.
김선우 기술과공유가치 대표는 주제 발표를 통해 기술로 인한 산업변화는 매우 빠르며 2030년에는 차량용 가솔린의 수요가 거의 사라질 것이라 전망했다. |
수평적 도시-정부, ‘스마트 그린시티’
기술적 디플레이션에 대해서도 낙관적인 전망이 이어진다. 기술의 발전에 의해 단가가 작아 지고 가상현실과 원격로봇의 결합으로 지연시간이 적어져 ‘아바타 경제’가 실현될 것으로 보인다.
4차산업혁명의 기술은 분산적으로서, 지역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분산화와 자급경제로 인해 세계화는 쇠퇴하지만 지역생산은 자급(self-sufficient)사회로의 전환 가능성을 증대하고 재화의 이동거리를 줄이므로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자원·에너지에 대한 경쟁 감소와 분쟁 위험이 감소되고 도시의 역할은 증대될 것이다.
김선우 대표는 ‘스마트 그린시티’의 역할을 강조하며 도시-정부간의 수평적 파트너십을 통해 인류 공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의 4차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여 인류가 당면한 도전 과제들을 해결하고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노력이 국제사회에 확산되고 있으며 디지털 플랫폼과 협동조합(사회적 경제)의 결합을 통한 경제 민주주의 구현되고 있다. 개인이 자신의 소유인 개인데이터에 대한 통제권을 보유하고 개인데이터를 통해 창출되는 가치를 구글 등 플랫폼 대기업이 아닌 개인이 가져가는 지속가능 데이터 경제도 확대된다.
디지털 시대의 정부는 블록체인에 기반한 위임민주주의로 인간 대신 사용자의 정치적 선호를 이해하는 인공지능(디지털비서)에 위임하는 디지털 민주주의가 실험적으로 도입될 가능성도 있다.
김선우 대표는 “지방정부의 역할과 기능이 강조되면서 각 도시는 ‘스마트그린시티’로의 진화를 꿈꾼다”며 스마트 가로등과 지하공간 마스터플랜을 소개했다. 스마트 그린시티의 스마트 가로등(Smart Street Light)은 환경(미세먼지), 공공안전(CCTV), EV충전, 드론배송 등과 함께 스마트시티의 핵심 인프라다. 향후 10년간 264M개의 LED 가로등 설치될 것이며 전 세계 가로등 시장은 현재(2017년 11월) 317M에서 2027년 363M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지하공간에 대한 마스터 플랜도 스마트그린시티에서 새로 도입된 개념이다. 김 대표는 태양광 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것 외에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을 건축물 외장재로 사용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인 BIPV 등을 소개하면서 빌딩 전체가 나무로 둘러싸인 미래형 주거 건축물, 포레스트 시티(Forest City)’, Floating City 등 새로운 비전을 설명했다.
최현주 성남시 환경보건국 환경정책과 팀장 |
‘환경교육도시 성남’의 특별한 노력
4차산업혁명시대를 살아야 할 미래세대를 위한 교육정책에 대한 설명도 이어졌다. 성남시 환경보건국 환경정책과 최현주 팀장은 스마트 그린시티를 위한 환경교육 추진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성남시는 3개 구청별, 시청 행정부서별로 환경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환경위생과, 환경정책과, 녹지과, 하천관리과는 생태교육 위주로 교육을 진행하고 수질복원과, 정수과, 청소행정과는 시설 견학 위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시 산하기관(청소년 재단, 자원봉사 센터 등)에서도 부분적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환경교육이 부서별로 산재돼 있어 프로그램이 중복되는 면이 있었다. 이에 따라 환경교육 컨트롤타워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환경교육도시 추진을 위한 사전 기획단은 성남시 환경교육도시 비전 및 로드맵 설정을 위한 컨트롤 타워다.
성남시는 민·관·학이 함께 만드는 환경교육도시를 위해 파트너십 회의를 운영하고, 성남시 환경교육 네트워크(SEEN)를 발족했다. 환경교육 인프라 구축을 위해 지난 2016년 성남시 환경교육 진흥 및 지원 조례를 제정했다. 작년부터는 맹산·판교 환경생태학습원의 환경교육을 확대하고 있다. 학교환경 교육 실시에 따른 강사인력 확보를 위해 환경교육 강사 통합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환경교육도시를 선포한 성남은 2016년 11월 환경교육도시 선언문을 발표하고 환경교육 유공자 7명을 표창했다.
환경교육도시 ‘성남’에서 학교 환경교육은 필수다. 성남시 초등학교 4학년 72개교 291학급 8,700여명은 교과수업에 환경교육 8시간이 편성돼 있다. 시민에 대한 환경교육도 ▷찾아가는 시민환경교실 ▷전문가 특별강연 ▷민간환경교육사업지원 ▷공무원, 유관기관 환경교육 필수이수 ▷가족과 함께 주말탐사반 ▷행복아카데미 특별강연 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환경교육 TF팀은 작년 3월부터 계속 운영되고 있으며 환경교육 컨트롤타워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성남시는 제1회 2017 대한민국 환경교육 축전에서 지자체로서는 유일하게 환경부장관 기관표창을 수상했다.
최현주 팀장은 “모두를 위한 환경교육, 기후변화, 생태시민요구, 마을과 커뮤니티 기반으로 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전상은 한국환경공단 환경기술연구소 팀장 |
빅데이터 기반 환경관리 시스템 구축
마지막 발표에서 한국환경공단 환경기술연구소 전상은 팀장은 4차 산업혁명과 환경분야 데이터 활용방안을 주제로 사례중심의 발표를 이어갔다. 한국환경공단은 지난해 환경정보융합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정보전략계획 수립을 위해 환경기술연구소를 열었다. 공단은 빅데이터 기반구축(데이터 표준화 연계), 빅데이터 활용, 환경관리 멀티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IoT 기반 공공하수처리시설 수질연계 시스템 실증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전 팀장은 스마트그린시티를 “4차산업혁명의 모든기술과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그릇”이라 설명했다. 스마트시티 7대 혁신변화는 ▷미래가치 지향의 사람중심 도시 ▷혁신성장 동력 육성도시 ▷효율/서비스 중심 체감형 도시 ▷공간/기술/주체별 맞춤형 도시 ▷플랫폼으로서 지속가능한 도시 ▷수요자/민간 참여의 열린 도시 ▷정책/사업/기술 융합∙연계형 도시를 말한다.
전상은 팀장은 단편적 솔루션 공급탈피, 데이터를 활용한 도시 플랫폼을 구현한 영국 캠브리지, 리빙랩·테스트베드 조성으로 자유로운 실험공간을 제공한 스페인 산탄데르, 기업·시민 참여형 서비스공모·챌린지를 운영한 미국 콜럼버스 그리고 국내의 홍천군 친환경 에너지타운 조성사업, 도로 재비산먼지 이동측정시스템, 안양새물공원(안양박달하수처리시설)을 소개했다.
장길수 고려대학교 교수 |
지혜로운 기술 활용, 지속가능도시 가치 구현
이어진 전문가 토론에서 고려대학교 장길수 교수는 친환경에너지 보급과 관련된 문제를 지적하면서 지방자치단체 간의 에너지 자립 불균형과 주민 수용성 문제를 들었다. 장 교수는 에너지 자립 불균형 문제의 심화를 막기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해 자립도가 낮은 곳에 더 많은 발전설비를 도입하고 친환경에너지원에 의한 전력생산설비 기준을 높이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전력사용량이 많은 경기도 같은 경우는 산업체가 많이 분포하므로 이러한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고려하고 지자체의 주도로 주민수용성 문제를 극복해야 국가가 설정한 친환경 에너지 보급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사업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 중 하나인 전력계통 문제 해결을 위해 지자체가 나서면 친환경 에너지원의 보급률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조언했다.
정재원 (사)국회 환경·기상·생태·ICT융합포럼 사무국장 |
(사)국회 환경·기상·생태·ICT융합포럼 정재원 사무국장은 “4차산업혁명은 단순한 기술의 결과가 아니라 각 분야의 지능적 연결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이라고 말하며 각 분야의 연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국장은 “도시의 가로등을 LED로 바꾸는 것은 온실가스 감축 과제 이행 측면에 부합될 뿐 아니라 보안의 기능을 하는 것”이라며 스마트그린시티 사업의 비전을 수립할 때 신도시에 대한 계획 뿐 아니라 취약지역에 대한 균형적 발전 비전도 함께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또한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교육에 있어서 IT기반의 도구를 활용해 교육적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환경정보 빅데이터를 융합할 수 있는 체계화된 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연희 이클레이(ICLEI) 한국사무소장 |
이클레이(ICLEI) 한국사무소의 박연희 소장은 스마트그린시티에 접근하는 방식은 국가마다 다르다고 하면서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어가는 방식으로 4차산업혁명의 도구를 적절하게 활용해가야 한다”고 말했다. 박 소장은 각 국가가 겪고 있는 형평성의 문제를 해결하고 격차의 문제를 해결해야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기술을 지혜롭게 활용해 공적 영역에서 지속가능한 도시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표방한 성남시의 교육이 평생교육의 시스템 안에서 체계화되고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한 교육으로 발전해 다른 도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기를 바란다는 바람을 전했다.
하동근 판교환경생태학습원장 |
빅데이터 활용과 같은 4차산업기술이 저절로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라는 의견도 있었다. 판교환경생태학습원 하동근 원장은 “환경교육은 아이들의 가치관을 수립하는 문제”라며 4차산업기술을 어떻게 이용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창 한국환경공단 환경기술연구소장 |
포용사회 위한 도약, ‘환경교육·첨단기술’
한국환경공단 환경기술연구소 이창 소장은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는 연구소의 사업영역을 설명했다. 이 소장은 “최근 환경문제가 심화되고 4차산업혁명이 대두되면서 융합적 접근으로 이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생기고 있다”며 “데이터 제공의 역할을 하고 있는 연구소의 업무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스마트그린시티 조성에도 각 지자체별로 차별화된 계획과 기본적인 마스터 플랜이 필요하다”며 실효성 있는 데이터의 표준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김승현 교수는 청중 발언을 통해 스마트한 그린시티가 되기 위해서는 그린테크놀로지와 스마트 기술이 결합돼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번 토론회가 단순히 비전을 밝히는 자리에 그치지 않고 실행계획을 구체화 하는 자리로 계속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발제를 맡았던 김선우 대표는 스마트그린시티의 시범 모델을 만들어 각 지자체로 확산시키기를 바란다고 말하며 주민수용성을 고려한 친환경 에너지원을 구축하고 환경교육을 확대하며 4차산업기술을 적극 활용해 지속가능한 도시로 나아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익수 본지 편집대표 |
좌장을 맡은 본지 김익수 편집대표는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환경 전담 교사 제도 도입’을 조언했다. 그는 “미세먼지 등에 대한 불안함을 가지고 있지만 정작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환경교사는 전무한 실정”이라며 학교 내 환경 관리, 에너지 관리를 하면서 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교사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첨단 기술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그간 해결하지 못했던 환경 개선이 가능하게 될 것이라 말하며 첨단 기술은 포용사회로 가기 위한 새로운 도약의 기회라고 강조했다.
서효림 기자, 김은교 기자 shr8212@hkbs.co.kr, kek1103@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