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사회·문화 메트로
마포구, '생활쓰레기 직매립 제로화' 정책 추진

마포구(구청장 박홍섭)는 폐기물 배출량을 감소하고 폐기물의 자체적 처리 가능량을 늘려 쓰레기 제로의 친환경도시, ‘에코시티 마포’ 만들기를 목표로 2017년까지 생활쓰레기 직매립 제로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에코시티 마포’ 만들기 정책의 일환인 재활용정거장 실시 현장사진. <사진제공=마포구>


[환경일보] 석진하 기자 = 마포구(구청장 박홍섭)는 폐기물 배출량을 감소하고 폐기물의 자체적 처리 가능량을 늘려 쓰레기 제로의 친환경도시, ‘에코시티 마포’ 만들기를 목표로 2017년까지 생활쓰레기 직매립 제로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구는 기존에 사용하던 수도권매립지 사용연장허가의 만료일이 다가오고 2016년 시행 예정인 ‘자원순환 사회전환 촉진법’에 직매립 금지 조항이 예상됨에 따라 2017년까지 생활폐기물 20% 의무감량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마포구 관내 연간 쓰레기 총 발생량(‘14.12.31 기준) 89만286톤 중 생활쓰레기는 46만610톤으로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52.2%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구는 생활쓰레기 배출량 대비 재활용품 배출량을 늘리는 일을 주요과제로 하고 있다.

생활쓰레기 직매립 제로화를 위해 구는 크게 ▷생활쓰레기 발생량 감축 ▷재활용 산업 육성을 목표로 세부사업을 계획·전개하고 있다.

현재 생활쓰레기 발생량 감축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세부사업은 ▷2014년 4월부터 관내 16개 전 동에서 실시·정착하고 있는 ‘재활용정거장사업’ ▷구·동청사와 보건소 및 산하기관 등에서 실시하고 있는 ‘공공청사 및 유관기관 폐기물 감량화’ ▷수집한 폐기물 중 재활용품을 분류하는 ‘공공용 종량제 봉투 내 재활용 가능자원 선별 강화’ ▷소재별 분리 배출시 최대 50% 재활용이 가능한 ‘봉제원단 조각 재활용’ ▷자원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폐목재류 무상 위탁처리’ ▷연2회 이상 실시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다량배출사업장 분리배출 지도·점검 강화’ 등이다.

또한 구는 재활용 산업 육성을 위해 ▷동 주민센터 수거전담반 구성·운영으로 폐휴대폰·폐소형가전제품·폐형광등·폐건전지를 수거하는 ‘폐금속자원 재활용 활성화’사업 ▷재생원료인 잉고트를 생산·판매해 재정확보에 일조하고 있는 ‘폐스티로폼 감용기 운영’ ▷구청 전 직원 및 구민 등을 대상으로 매월 둘째주 금요일에 실시하는 ‘헌옷 수거의 날’ ▷10명의 자원봉사자·공공근로자·어르신일자리대상자·재능기부자 등의 도움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폐현수막 재활용’ ▷폐식용유와 동물성유지 수거 체계를 구축해 재활용하는 ‘폐식용유 수거 활성화’ 등을 실시해 생활폐기물 중 재활용이 가능한 각종 자원을 최대한 확보해 폐기물 감량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구는 제도강화 및 개선을 위해 ▷청소대행업체 공개경쟁입찰 도입 및 평가기준을 마련해 생활폐기물 수거 대행체계를 개선하고 ▷종량제봉투 판매관리 전산시스템 구축으로 판매물량 및 재고관리의 효율화를 추구하며 ▷관내 전 지역을 대상으로 폐기물관리법 위반 단속 강화를 실시하고 ▷2인 1조로 구성된 점검팀이 1회용품 사용규제 업소를 수시 점검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고 음식물쓰레기 감량 추진을 위해 RFID 대형감량기 및 종량기를 관내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하는 사업도 실시하고 있다.

한편 구는 생활페기물 감량을 위한 구민실천 문화 창출을 위해 ▷연3회 이상 구민참여 방식을 기반으로 재활용 증대 및 구민화합을 도모할 수 있는 ‘녹색 및 나눔장터 운영 활성화’ ▷공유자와 요청자를 연결해 필요한 물건을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돕는 ‘재활용품 공유 문화 확산’ ▷구민이 주체가 돼 생활폐기물 감량을 홍보하고 실천하는 ‘쓰레기감량 및 재활용 실천 운동 전개’와 ‘구민과 함께 하는 클린 마포가꾸기 운동’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

김종웅 청소행정과장은 “환경적 여건을 고려해 봤을 때 폐기물의 매립 공간 확대나 폐기물 소각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자원 재활용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수”라고 하며 “생활쓰레기 문제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홍보와 제도 마련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jh2141@hkbs.co.kr

석진하  sjh2141@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석진하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여백
포토뉴스
[포토] 대한건설보건학회 후기 학술대회
[포토]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학술발표회 개최
[포토]최병암 산림청 차장, 생활밀착형 숲 조성사업 준공식 참석
[포토] ‘제22회 아름다운 화장실 대상’ 시상식 개최
수원에서 첫 얼음 관측
여백
여백
여백
오피니언&피플
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
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