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김진호 기자 = 농촌은 안정적인 식량 공급과 자연환경 및 전통문화 보존, 국토의 균형발전 등을 위해 필요하지만 산업화 등의 이유로 많은 농민이 농촌을 떠나고 공동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최근 개최된 세미나에서 농촌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노인 복지 외에 젊은 세대들이 농촌에서 정착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으며 이를 위해서는 의료와 영유아 보육, 청소년 문화 및 교육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농촌진흥청은 농촌 사회의 변화를 전망하고 농민 삶의 질을 개선 및 향상하기 위해 ‘농촌생활지표로 본 농촌사회 변화와 전망’이라는 심포지엄을 최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했다. 심포지엄의 발표자들은 농촌진흥청이 2000~2011년 동안 구축한 ‘농촌생활지표’ 등에 근거해 농촌 사회를 분석했다.
▲대구대학교 조희금 교수는 ‘농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복지적 과제’에 대해서 발표했다. 조 교수는 농촌의 복지적 과제는 노인을 위한 서비스 외에도 젊은 세대를 위한 지원도 있어야 한다고 전했다. <사진=김진호 기자> |
주제발표에 나선 대구대학교 조희금 교수는 “농촌 사회는 고령사회로 진입했기 때문에 노인 복지가 우선적 과제이지만 농촌과 농업을 유지·발전시키는 젊은 세대가 농촌을 떠나지 않고 지속적인 생활을 유지하도록 지원하는 정책도 필요하다”라며 “젊은 세대와 노인 복지가 동시에 이뤄져야 농촌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전했다.
또한 조 교수는 “농촌 주민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노인을 위해서는 의료복지 및 노인복지 서비스를 확충해야 하고 농촌에 거주하는 젊은 층인 30·40대를 위해서는 영유아 보육 및 교육, 청소년을 위한 문화시설, 학습지도 등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실제 농촌 사회는 젊은 세대의 인구 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전제 농촌 인구 중 30대 이하가 차지하는 비율은 4.7%, 40대 9.9%, 50대 20.0%, 60대 26.4%, 70대 이상이 39.0%로 70대 이상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젊은 층인 40대 이하는 15%도 되지 않는 실정이다.
아울러 조 교수는 “농촌에서 이뤄지는 국제결혼이 우리나라 국제결혼의 50%를 차지한다”라며 “다문화 가정 및 다문화 아동에 대해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다양한 전문가들이 지난 10년 간 농촌생활에 나타난 변화를 조명하고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를 토론했다. |
▲코뮤니타스 신동호 대표는 도농간 비교를 통한 농천 여가실태에 대해 발표했다. |
이촌(離村)의 원인은 교육 문제
이날 행사에는 농촌진흥청을 비롯한 중앙행정기관과 학계, 기업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다양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순천대학교 강대구 교수는 “지난 10년 동안 농촌 주민들의 교육적 욕구를 분석한 결과 농촌을 떠나는 이촌의 가장 큰 이유는 자녀 교육”이라며 농촌 교육의 중요성을 말했다. |
한편 농촌 주민이 농촌을 떠나는 중요한 이유가 교육 문제라는 지적이 나왔며 농촌 주민들의 자녀 교육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공돼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순천대학교 강대구 교수는 “지난 10년 동안 농촌 주민들을 분석한 결과 농촌을 떠나는 가장 큰 이유는 자녀 교육”이라며 농촌 교육의 중요성을 말했다. 실제 소득보다는 자녀 교육 때문에 이촌을 한 농촌 주민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 교수는 "농촌 지역은 취학 인구의 부족으로 학교의 축소와 폐교 현상이 나타나고 농촌 주민 역시 농촌학교의 교육적 역량이 부족하다고 인식을 하기 때문에 보다 나은 자녀 교육을 위해서 농촌 주민들은 이농을 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강 교수는 농촌 주민의 자녀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지연 단체 등이 자금을 지원해 농촌 자녀들을 위한 학습 시설과 문화 공간을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jhocean@hkbs.co.kr
김진호 jhocean@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