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전국네트워크 수도권
GTX 제3노선 경원선 지하화 병행추진 협약

[환경일보 김규천 기자] 청량리∼의정부역 구간의 경원선 지하화를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해 유덕열 동대문구청장을 비롯한 이동진 도봉구청장, 김성환 노원구청장, 안병용 경기도 의정부시장 등 수도권 4개 단체장이 3일 오전 7시30분 도봉구청에 모여 공동추진을 위한 협약식을 체결한다.

 

동대문구는 노원구·도봉구·경기도 의정부시와 함께 경원선 청량리∼의정부역 구간 철로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인 GTX와 연계해 지하화 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동일한 구간인 지하철 1호선 연장 경원선(청량리∼성북∼창동∼의정부)과 GTX(Great Train eXpress) 제3노선(의정부∼금정)은 18.7km로 15개 역이 있으며, 철로를 지하화 하는데 3조1천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지하 40∼50m에 건설되는 GTX는 터널속을 최고 200km, 평균시속 100km로 달리는 광역급행철도로 의정부∼창동∼금정 등 수도권 3개 노선에서 추진되고 있다.

 

이 구간은 지난 1974년부터 약 40여년 동안 수도권 동북부지역과 도심을 잇는 교통수단으로 매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해 왔으나, 도시가 팽창함에 따라 철로 주변이 주거지로 변모하면서 해당지역의 주민은 소음과 분진 및 진동으로 인해 고통을 받아왔다.

또한 철로로 인한 도시기능의 양분화는 도시의 통합적 발전에 매우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철로 지하화는 이 지역 자치단체의 오랜숙원사업으로 필수불가결한 사업이다.

 

유덕열 동대문구청장은 “경원선 청량리∼성북∼창동∼의정부 구간은 반드시 지하화돼야 하며, 단독사업으로 추진한다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번에 국토해양부에서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1~2020)’으로 확정한 GTX 제3노선과 병행해 추진한다면 지하화에 따른 예산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역사의 공동운영 등으로 인한 막대한 비용절감의 효과를 거두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며 “GTX 건설 때 터널폭을 넓히면 경원선과 함께 이용할 수 있어 사업비가 크게 절감되고, 경원선 지하화로 얻어지는 지상부지는 주민의 품으로 돌아가 수도권 동북부지역의 발전의 획기적인 전기로 마련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 2009년 경원선을 단독으로 지하화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비용편익(B/C)에 비해 막대한 사업비가 투입되는 사업으로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기도는 GTX 3개노선을 국토해양부에 제안해 지난 4월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으로 결정한 바 있다.

 

한국철도공사 자료(2008년)에는 경원선 청량리∼도봉산역 구간 양방향 열차는 연간 2008년 약 10억명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4개 지방자치단체는 서울시가 11조3천억원을 투입해 추질 할 예정인 도시로지하화(U-Smart way)보다 녹색교통시설인 철도의 지하화가 더 시급한 것으로 판단하고, 공동추진 협약을 체결한 뒤 200만 지역주민의 염원을 담아 서울시와 경기도, 국토해양부에 이 같은 요구 사항을 건의할 예정이다.

 

556555.
▲ 청량리~의정부역 경원선 구간 노선도

tofjal@nate.com

김규천  tofjal@nate.com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규천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여백
포토뉴스
[포토] 대한건설보건학회 후기 학술대회
[포토]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학술발표회 개최
[포토]최병암 산림청 차장, 생활밀착형 숲 조성사업 준공식 참석
[포토] ‘제22회 아름다운 화장실 대상’ 시상식 개최
수원에서 첫 얼음 관측
여백
여백
여백
오피니언&피플
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
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