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환경뉴스 환경정보
전기차, 충전인프라 없인 무용지물

【서울=환경일보】정종현 기자 = 많은 학자와 업계 전문가들은 전기자동차 보급에 핵심 키가 충전 인프라 구축에 있다고 말해오고 있다.

 

지난 3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전기자동차 발전에 관한 심포지엄에 참석한 전문가들 역시 이와 같은 내용에 공감하면서 국내 전기자동차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 구축에 힘써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기조연설자로 나선 현대자동차 이현순 부회장은 “현대자동차는 내년부터 전기차를 시범운행하고 2012년부터는 수 천대 정도는 양산할 계획에 있다”면서 “이 계획이 성공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충전 인프라 구축이 가장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전기자동차는 동급의 가솔린 차량과 비교했을 때 연비가 월등하다. 내연 기관으로 주행하는 가솔린 자동차의 경우 보통 1리터의 연료로 약 9.7kwh의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반면 전기 기관을 이용하는 경우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2.7kw의 전기에너지는 1리터의 가솔린으로 발생하는 에너지와 비슷한 크기를 보인다. 즉 전기자동차가 가솔린 차량보다 적은 에너지로 비슷한 크기의 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전기자동차의 유지비용도 가솔린 자동차와 비교했을 때 크게 낮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약 8000㎞ 주행을 해도 타이어 정도만 교체해 주면 되기 때문이다. 납축전지는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지만 니켈 수소 배터리의 수명은 보통 자동차의 수명과 비슷해 도요타의 프라이어스 전기자동차의 경우 30만km를 배터리 교체 없이 주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매력적인 장점에도 전기자동차가 바로 탄탄한 인프라를 갖춘 가솔린 자동차 시장을 대체할 수 없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예를 들어 가솔린 자동차는 여행 중에 주유할 수 있는 곳을 비교적 찾기 쉽지만 전기자동차는 그렇지 못하는 것이다. 게다가 전기자동차 전기충전소를 찾는다 하더라고 충전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장거리 운행자에게 전기자동차는 큰 호응을 얻을 수 없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제너럴 모터스(GM)사가 사우스 캘리포니아(South California)에서 출시한 전기자동차는 시장에서 수요가 없다는 이유로 회수돼 폐기처분되기도 했다.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방식은 크게 4가지로 구분이 되는데 우선 주차장에 충전시설을 갖춰 주차하는 동안 충전을 하는 방식이다. 자동차는 수명기간 중 약 20%는 운행하고 나머지 80%는 주차상태에 있는데 이 주차시간을 이용해 전기를 충전하고 수요 공급자 간 양방향 통신과 실시간 가격 정보를 이용해 수요자가 충전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통해 역으로 필요한 시간에 계통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는 현재의 주유소처럼 도로 곳곳에 충전소를 설치해 충전이 필요한 차량이 들어와 충전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한국전기연구원 류홍제 책임연구원은 “현재의 기술로는 충전 시간은 30분 정도 걸릴 것”이라며 “만충전은 오히려 효율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70~80% 정도만 충전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 경우 30분이나 걸리는 충전시간을 단축 시키는 것과 급속 충전 시 발생하는 열을 식히는 것이 핵심 관건이다.

 

세 번째는 자동차가 도로를 달리는 동안 충전을 하는 방법이다. 도로에 스마트 그리드 설비를 갖춰 달리면서 무선 네트워크로 전력망과 통신을 하면서 충전을 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한국전기연구원의 김대경 전력설비지능화 연구센터 센터장은 “이런 방식은 인프라 구축에 천문학적인 재원이 들기 때문에 사실상 현실가능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마지막은 휴대전화처럼 충전된 배터리와 방전된 배터리를 교체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역시 그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워 실효성을 갖기는 어려워 보인다. 이날 발제자로 참석한 자동차부품연구원 이백행 센터장은 충전방식의 표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충전인터페이스는 자동차 산업의 생존이 달린 문제임과 동시에 미래성장 동력이다”라고 못박았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충전 인프라 구축과 더불어 해결해야 할 문제들도 제기됐다.

 

한국전기연구원 최상봉 책임연구원은 “현재 국내에는 전기자동차가 보급됐을 때 전력계통에 어떤 영향을 줄지에 대한 어떤 자료도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미국의 자료를 토대로 살펴보면 전기자동차가 10% 증가할 경우 전력계통 용량은 3% 늘어나고 20% 증가할 경우 5% 미만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용량으로만 따지면 큰 부담은 없지만 충전이 몰리는 시간대의 일시적인 계통부하에 대한 고려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뿐만 아니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소연 선임연구원은 “전기자동차가 스마트 그리드와 연계되면 정보보안 문제도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게 될 것”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근거리전기차의 도로주행 허용 방안을 담은 정부 발의 ‘자동차관리법’ 개정안이 국회 법사위와 본회의 통과를 앞두고 있어 빠르면 11월 말쯤 정부가 이를 공표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충전 인프라 문제가 전기자동차 양산의 발목을 잡지 않을지 관련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miss0407@hkbs.co.kr

정종현  miss0407@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종현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여백
포토뉴스
[포토] 대한건설보건학회 후기 학술대회
[포토]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학술발표회 개최
[포토]최병암 산림청 차장, 생활밀착형 숲 조성사업 준공식 참석
[포토] ‘제22회 아름다운 화장실 대상’ 시상식 개최
수원에서 첫 얼음 관측
여백
여백
여백
오피니언&피플
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
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