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환경플러스 교육·과학
회오리 바람

【서울=환경일보】모든 폭풍 중에서 가장 변덕스러운 것은 토네이도이다.

 

이것은 스페인어에서 뇌우를 뜻하는 트로나다(Tronada)를 어원으로 한 이동성 선형풍(旋衡風)이다. 고ㆍ저기압 같은 대기 순환은 넓은 지역에 걸쳐 느리게 진행되는 반면, 선형풍은 반경이 작고 각속도가 클 때 발생하며 회전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고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중심부는 저기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토네이도를 회오리 바람 또는 용오름이라고도 한다.

 

회오리는 전 세계의 여러 곳에서 일어나지만 미국 만큼 빈번히, 그리고 격렬하게 일어나는 곳은 없다.

 

미국에서는 해마다 500~600회나 회오리가 발생하며 대부분이 오후, 하루 중에서는 가장 더운 시각이 조금 지났을 무렵에 일어나고 또 언제나 뇌우를 동반한다. 녹색의 번개가 무시무시하게 지상에 번쩍이고 시꺼먼 구름이 녹색과 황색으로 이상하게 빛나며, 그와 동시에 멀리에서 짓눌린 듯한 우르릉하는 울림 소리가 들려오는데, 가까이에서 들으면 여러 대의 급행열차가 전속력으로 달릴 때의 굉음처럼 들린다.

 

보통의 회오리는 중심의 직경 230m이고 지상을 통과하는 거리가 불과 30m 안팎에서 150km 이상이 될 때도 있다. 보통 깔때기 모양의 구름이 돼 나타나지만 때로는 곧바른 원통형이나 가늘게 구부러진 밧줄같은 형태이거나 코끼리의 코 같은 형상이 돼 지상을 휩쓸고 지나간다.

 

회오리 바람은 두가지의 파괴력을 가지고 있다. 회오리 바람의 바깥 쪽은 진로에 있는 거의 모든 것에 피해를 준다. 한편 깔때기 속의 기압은 낮기 때문에 그 속에 들어간 집은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는 압력에 의해 날아가 버리고 만다.

 

이 바람은 성질이 다른 기단이 서로 맞부딪치면서 발생한다. 어떤 이론에 의하면 속도가 빠른 차갑고 건조한 공기가 보통 때처럼 밑으로 들어가지 않고 습기찬 열대의 공기 위를 빠져나가면 그 결과 심한 불안정이 생긴다. 따뜻한 공기는 갑자기 상승하기 시작하고 때로는 연직으로 시속 300km에까지 이르며, 옆으로 흘러드는 공기는 이 상승기류를 회전시켜 소용돌이 치기 시작한다.

 

또한 비와 우박, 끊임없는 번개를 수반해 보통 시속 70km의 속도로 이동하며 보통 몇분 동안 밖에 계속되지 않지만 그 수 분 동안에 엄청나게 큰 파괴력을 발휘한다.

 

회오리 바람은 이동하면서 목재, 나무, 가축, 가구, 가옥, 수레 등에 많은 피해를 주나 피해폭은 넓지 않다. 회오리에 의해 인간이 하늘 높이 떠올려진 예까지 있다. 1947년에 텍사스에서 두 사람이 회오리에 의해 60m나 하늘을 날고 상처 하나 입지 않고 지상에 내려진 일이 있었다.

 

회오리가 일으키는 소용돌이의 최대 속도는 정확하게 측정되지 못하고 있다. 기상학자들은 아마도 시속 600km 정도는 될 것이고 어쩌면 음속에 가까운 시속 1000~1100km 까지 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고 있다.

 

회오리가 지나간 자리에는 피해 잔해가 생생하게 남는다. 1925년 미국에서 일어났던 어떤 회오리는 큰 판자를 나무 줄기에 박히게 했는데 판자 끝에 사람이 하나 매달려도 끄떡없을 만큼 튼튼하게 박혀 있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최근의 용오름 현상은 1988년 10월18일 울릉도 근해에서 관측됐다. 해상에서 물기둥을 이루며 30분 정도 계속됐으나,  보통의 토네이도 강도에 미치지 못했고 육지에 상륙하지 않아 별다른 피해가 없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잘 발생하지 않지만, 회오리는 본질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우며 지표 위를 끊임 없이 소용돌이 치며 불고 있는 여러가지 바람 중에서 가장 짧지만 가장 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이삭 기자 press1@hkbs.co.krㆍ자료=기상청

한이삭  press1@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이삭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여백
포토뉴스
[포토] 대한건설보건학회 후기 학술대회
[포토]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학술발표회 개최
[포토]최병암 산림청 차장, 생활밀착형 숲 조성사업 준공식 참석
[포토] ‘제22회 아름다운 화장실 대상’ 시상식 개최
수원에서 첫 얼음 관측
여백
여백
여백
오피니언&피플
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
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