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환경뉴스 환경정책
국민들, '유해화학물질' 심각반응
- 정부 관리제도 강화대책마련 시급
- 문제현상해결 언론매체 역할 '톡톡'

대다수 국민이 유해화학물질에 대해 심각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관리제도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환경부가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다이옥신·환경호르몬 등 유해화학물
질관리」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에서 응답자의 절대다수인 96.0%가 '유해화
학물질 피해가 심각하다'고 답변했으며, 44.2%가 피해를 줄이기 위해 '유해
화학물질 관리제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해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마련
이 필요함을 반증했다.

6일, 환경부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유해물질 중 공장이나 소각시설에서 배
출되는 화학물질35.0%, 자동차 배기가스 함유 화학물질31.3% 등이 불안요소
가 가장 많은 유해화학물질로 꼽혔다.

또 기업과 관련한 문항에 있어서 응답자의 대다수인 79.0%가 '기업이 유해
화학물질 감소에 노력하지 않는다'며, 앞으로 기업은 유해물질 배출시설 교
체 및 공정개선에 54.2%, 유해물질 사용·배출 등에 대한 정보공개에 20.6%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흥미로운 것은 이와 같은 피해 발생에 중앙정부의 법과 제도가 미흡(32.3%)
하다고 말한 것으로, 이를 통해 국민이 중앙정부의 강력한 관리제도를 통
한 기업의 개선노력을 원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한편, 지역의 유해화학물질 피해 문제 해결을 위한 주체로는 지역주민에
34.5%, 지방자치단체에 27.5% 응답하는 등 자치체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많아 앞으로 지방정부로의 관리의무 및 권한 이전이 전면적으로 행
해져야 한다는 것을 드러냈다.

이와 같은 현상을 해결하는 데 언론매체의 역할도 중시되고 있었다. 유해화
학물질 피해감소를 위해 자연환경의 화학물질 오염정도 38.9%, 화학물질이
사람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대처방법 31.5% 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하
며, 가장 효과적인 정보제공 수단에 언론매체 82.8%가 꼽혀 앞으로 언론매
체를 통한 관련 홍보강화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이 여론조사결과를 토대로 유해화학물질 관리제도개
선, 정보제공확대, 적극적 홍보 등 강화할 방침이다.

이지원 기자 mong0521@hkbs.co.kr

이지원  mong0521@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여백
포토뉴스
[포토] 대한건설보건학회 후기 학술대회
[포토]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학술발표회 개최
[포토]최병암 산림청 차장, 생활밀착형 숲 조성사업 준공식 참석
[포토] ‘제22회 아름다운 화장실 대상’ 시상식 개최
수원에서 첫 얼음 관측
여백
여백
여백
오피니언&피플
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
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