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오피니언&피플 칼럼
제로 이미션, 주택 전과정에 적용
생산·운반·폐기 통틀어 탄소배출 ‘0’
政 그린홈…정책·기술개발·시장개척 기대


▲ 김지영 연구원(연세대학교 저에너지 친환경 공동주택 연구단)
제로 이미션 주택, 탄소 제로 주택, 제로 에너지 하우스, 생태 주거, 패시브 하우스, 그린 홈, 환경공생 주택 등, 이러한 이름들이 나타내고 있는 공통적인 목표를 다시 말하면 ‘친환경’이라는 말로 설명할 수 있다. 제로 이미션 주택이라고 하면 다소 생소하게 들리겠지만 친환경 주택이라는 말은 우리에게 익숙하다. 친환경을 추구하는 주택의 이름이 시대 흐름에 따라 비중 있게 다뤄지는 분야에 따라 변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일에서 환경 파괴에 반대하는 생태 주거가 나타났을 때에는 자연을 보존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고 1970년대 석유 파동이 일어났을 때는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졌다. 그리고 현재는 화석 연료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지구 기후 변화의 주범으로 나타나면서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는 제로 이미션 주택, 탄소 제로 주택 등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친환경 주택이라 하면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에 의한 IAQ문제를 가장 먼저 떠올리듯이 쾌적한 실내환경 또한 친환경 주택의 하나의 요건이다.

이러한 내용들을 정리하면 친환경 주택은 환경에 주는 부하를 최소화하면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주택이라고 할 수 있다. Low Impact, Low Energy Need, Low CO2 Emission, 이 3-Low 원칙이 친환경 주택을 잘 설명해 주고 있으며 위에 언급했던 시대별 친환경 주택이 추구했던 목표들도 모두 이 범위 안에 포함된다.

Low Impact는 건설행위가 일으킬 수 있는 환경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으로 동식물 생태계를 보존하고 주변 미기후의 변화로 인한 자연환경에의 영향을 최소화해야 하며, 또한 인공적이고 화학적인 재료에 의해 인간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도 이 범주에 포함된다. Low Energy need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면서도 환경 조절에 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Low CO2 Emission은 건물의 운영뿐만 아니라 건축 자재의 생산과 운반, 건설행위와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CO2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요즈음 논의되고 있는 제로 이미션 주택이나 탄소 제로 주택, 제로 에너지 하우스 등은 대부분 냉난방, 급탕, 취사, 전력 등 운영상에서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해서 발생하는 CO₂를 제로로 만들겠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를 대체하기 전에 에너지를 적게 쓸 수 있는 집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단열이 잘되어 있지 않고 바람이 새서 추운 집, 환기가 잘되지 않아 더운 집에서는 아직까지 설치비용이 비싼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이런 집은 건물의 에너지 성능을 높여서 에너지 사용량과 CO₂를 줄이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선진국들이 에너지 총량을 규제하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건물의 에너지 성능을 논의하자면 우리나라는 상당히 취약하다. 주택의 난방에너지 소비 원 단위는 일본에 비해 4배 이상이다. EU의 2020 Action Plan에서는 2015년 이후부터 모든 신축주택의 에너지 소비 수준을 Passive house 기준에 맞추겠다는 계획이 있는데 Passive house의 난방에너지 기준은 현재 우리나라의 건축법상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라 설계된 건물의 거의 1/10 수준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해 녹색성장이 국가 발전 이념으로 등장했고 ‘그린 홈’이라는 이름의 친환경 주택 보급사업이 준비 중에 있다. 그린 홈에서도 가장 강조되는 것은 에너지 절약과 CO₂저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10년 동안 추진하는 그린 홈 200만 호 보급사업이 줄일 수 있는 에너지는 전체 주택 재고 1300만 호의 전체 에너지 사용량에 비하면 채 10%에도 못 미친다. 그러나 이 사업의 의의는 직접적인 효과 보다는 국민들의 의식을 변화시키고 관련 산업을 활성화하는 데서 오는 간접적인 효과에 있다.

200만 호가 아니라 전체 1300만 호의 주택이 모두 그린 홈이 되는 날을 기대하며 법적인 규제에서부터 보조금, 세제 혜택 등의 인센티브까지 정부의 효과적인 정책적 뒷받침과 연구자들의 끊임없는 기술 개발,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시장에 대한 업계의 도전이 필요한 시기다.

최지현  jhchoi@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여백
포토뉴스
[포토] 대한건설보건학회 후기 학술대회
[포토]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학술발표회 개최
[포토]최병암 산림청 차장, 생활밀착형 숲 조성사업 준공식 참석
[포토] ‘제22회 아름다운 화장실 대상’ 시상식 개최
수원에서 첫 얼음 관측
여백
여백
여백
오피니언&피플
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
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