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오피니언&피플 칼럼
<2009 환경 ‘돋보기’>“빗물관리로 기후변화 타개”
환경분야 각계 저명인사들이 말하는 ‘2009년 환경 전망’을 통해 한발 앞서 20009년 환경 관심사를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자.<편집자 주>

‘빗물박사’가 바라본 2009 전망
▲ 한무영 교수
현재 전 세계의 도시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한 돌발성 집중강우에 의한 홍수에 적응하려는 노력과 탄소소비를 줄이기 위한 에너지 저감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빗물관리이다.

기후변화로 설계빈도 이상의 집중호우에 대해 취약한 도시의 인프라 보강 방안으로 빗물저류조나 침투조를 두면 돌발성 강우에 대한 안전도를 높일 수 있다. 수돗물을 공급하는 데에는 처리와 운반에 드는 에너지가 들어간다. 빗물이 떨어진 바로 그 자리에서 받아 비음용수로 사용하면 처리와 운반에 드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그 외에도 빗물을 모아서 잘 이용하면 열섬현상 완화, 냉각에너지 절감, 비산먼지 저감 등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삶의 질 향상에 활용할 수 있다.

다목적이고 적극적인 빗물관리로 대표되는 서울시 광진구의 주상복합건물인 스타시티의 빗물관리 시설과 서울시의 “빗물을 모으고 머금기 정책”은 2008년 12월의 IWA의 잡지의 커버스토리에 실릴 정도로 전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

앞서가는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도시나 단지를 (재)개발할 때 계획단계부터 시스템적으로 다목적인 빗물관리를 해 기후변화와 저탄소를 대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빗물관리 노하우는 수천 년간 우리나라에서 열악한 기후와 지형을 극복한 경험에 바탕을 둔 것으로서 기후변화에 대비한 전 세계 물 문제의 해결책이 될 것이다.


박순주  psj29@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순주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여백
포토뉴스
[포토] 대한건설보건학회 후기 학술대회
[포토]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학술발표회 개최
[포토]최병암 산림청 차장, 생활밀착형 숲 조성사업 준공식 참석
[포토] ‘제22회 아름다운 화장실 대상’ 시상식 개최
수원에서 첫 얼음 관측
여백
여백
여백
오피니언&피플
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제9대 임익상 국회예산정책처장 임명
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김만흠 국회입법조사처장 취임
여백
Back to Top